Manmino

Auxiliary Language of Asia

만민어 문법설명서

제2판

Return to the main page
목차:

  1. 서문
  2. 문자와 소리
    1.1 자음
    1.2 모음
    1.3 음운
  3. 조사
    2.1 명사 조사
    2.2 동사 조사
    2.3 기능변형사
    2.4 독립 조사
    2.5. 대명사
  4. 어휘
    3.1 한문에서 온 어휘
    3.2 산스크리트에서 온 어휘
    3.3 라틴어에서 온 어휘
    3.4 다른 언어에서 온 어휘
  5. 문법
    4.1 전반적 통사론
    4.2 존대어
    4.3 숫자

0. 서문

만민어는 일본에서 미얀마, 몽골에서 인도네시아에 이르는 다양하면서도 확실히 상호 연결된 동아시아 국가들의 간극을 메우기 위해 고안된 동아시아 보조 언어이다. 만민어는 어느 특정 그룹을 과도하게 편애하지 않으면서도 보편성을 균형 있게 유지하는 음운 재고, 구조적 유연성이 높은 단순한 교착적이면서도 분석적인 SOV 구조, 그리고 고대 중국어, 산스크리트어 등 역사적 및 현대적으로 중요한 여러 언어에서 균형 있게 어휘를 차용하여 동아시아 사람들이 사용하기에 쉬우면서도 뉘앙스 있는 언어를 목표로 한다.

만민어가 지향하는 목적은 역사적 긴장과 경쟁을 극복하는것, 영어보다 더 쉽게 접근할 수 있는 국제적 소통의 플랫폼을 제공하는것, 그리고 정부, 문화, 언어등의 장벽을 넘어 동아시아 지역에서 정보와 아이디어의 자유로운 흐름을 촉진하여 특정 단체가 동아시아의 예술 및 지적 환경을 지배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한백년 전 한 이상주의적인 범아시아주의자가 말했듯이, "夫" (대저 합치면 성공하고 흩어지면 패망한다는 것은 만고에 분명히 정해져 있는 이치이다). 팀 만민어는 이 언어를 배우고 사용하는 것을 통해 동아시아 사람들이 함께 성공적으로 협력하여 위대한 예술과 지적 성과를 창조하고 공유할 수 있기를 희망한다.

1. 문자와 소리

만민어는 동아시아와 동남아시아 모두에 익숙한 라틴 알파벳(만민어로는Latin Aksala, 또는 Latin Munji)으로 작성된다. 특정 상황에서 라틴 알파벳을 사용할 수 없는 경우에는 만민어를 위해 특별히 설계된 유사 아부기다인 Manmino Aksala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만민어 라틴 알파벳은 다음 글자들을 쓴다:

A B C D E F G H I J K L M N O P S T U W Y

a b c d e f g h i j k l m n o p s t u w y ’

1.1 자음

만민어에는 다음 자음들이 쓰인다

순음 치음 경구개음 연구개음 성문음
비음 m n ng /ŋ/1
거센 파열음2 p /ph/ t /th/ k /kh/ ’ /ʔ/3
약한 파열음 b d g
거센 파찰음 c /tɕh/
약한 파찰음 j /dʑ/
마찰음 f /ɸ ~ f/ s /ɕ/ h /x ∼ h/
측음 l
반모음 y /j/ w
  1. 음소[ŋ]는 초성으로 쓰일 수 없다.
  2. 동아시아에서 거센음과 약한음을 구분하는 방식이 여러가지가 있기에 여기에서는 세부하게 정의하지 않는다.
  3. 성문파열음은 단어 구분으 위해 선택적으로 쓰일 수 있으며, 따라서 비음운적이다 생각될 수 있다.
  4. ⟨s⟩ 는 ⟨y⟩나 ⟨i⟩의 앞에서는 경구개음화 되어 [ɕ]로 발음된다.
  5. 만민어 자음중에서 비음들 [m], [n], [ŋ], 성문파열음을 제외한 파열음 [p], [t], [k], 그리고 설측음 [l] 만 끝소리로 쓰일 수 있다.
  6. 이외 라틴 문자에서 쓰이는 문자들은 고유명사를 쓸때 쓸 수 있다.

1.2 모음

만민어에는 다음 5개 모음들이 있다: a, e, i, o, u. 만민어는 또한 다음 이중모음 및 삼중모음을 허용한다.

-∅1 -w -y
a- aw ay
wa- wa waw way
ya- ya yaw yay
o- ow oy
yo- yo yow
e- ew ey
ye- 2 ye yew yey
we- we wey
yu- yu yuy
wi- wi
  1. ⟨w⟩나 ⟨y⟩ 이후에는 자음이 올 수 없다
  2. ⟨ye⟩앞에 유일하게 허용되는 자음은 ⟨s⟩다.

1.3 음운

전반적으로 만민어의 음운 재고는 중립적으로 개발되었다. 동아시아 전역의 20개 주요 언어의 전체 음운 재고를 수집한 후 각 언어의 음운 재고를 카탈로그화하고 그 언어의 화자 수의 세제곱근과 동일한 값을 부여하였다. 그런 다음 모든 음운 재고를 합산하고 중간값을 초과하는 음소를 추가하고 나머지는 제거하였다.

위에 나열된 음소를 사용하여 만민어는 C1VC2 음절 구조를 사용한다. C1에는 [ŋ]이 제외되며, C2는 비음 [m], [n], [ŋ], 강파열음 [p], [t], [k], 그리고 측음 접근음 [l]로 제한된다. 성문 폐쇄음은 주의 깊은 발음에서만 필요하므로 일반적인 사용에서는 대부분 비음운적으로 간주될 수 있다.

더 넓은 범위의 화자를 수용하고 빠른 발음을 촉진하기 위해 만민어는 특정 이중문자의 유연한 이음적 발음을 허용한다. 해당 규칙은 다음과 같다:

혼란이 생길 경우, 임시 모음을 삽입하거나 위의 규칙을 사용하지 않고 천천히 말하는 방식으로 발음을 명확히 할 것을 권장한다.

2. 조사

만민어에서 단어의 명사, 동사, 형용사 또는 부사로서의 기능은 주로 위치와 접두사 및 접미사를 통한 조사로 식별된다. 따라서 만민어에서 단어는 고립된 상태로 명사, 동사, 수식어로 분류되지 않고, 객체와 개념, 행동과 현상, 그리고 특성으로 분류된다. 특정단어의 기능은 주변 조사에 의해 명사, 동사, 형용사 또는 부사로 결정된다.

2.1 명사 조사

만민어 명사는 명사의 기능을 결정하는 다음과 같은 접미 조사로 표시된다.

조사 기능 설명
na 주제 명사구를 문장의 주제로 표시한다. 이미 소개된 아이디어를 강조하는 데 사용된다.
이 조사는 주격 조사를 대체하는 경우가 많지만,
-lu-ne와 같은 다른 조사를 대체할 수도 있다.
ga 주격 명사를 문장의 주어로 표시한다.
일반적으로 단어를 새로운 아이디어로 구체적으로 표시해야 할 경우에만 사용된다.
lu 목적격 명사를 문장의 직접 목적어로 표시한다.
어순이 주어-목적어-동사일 때는 선택적이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필수적이다.
ji* 소유격 명사를 다음 명사구의 소유자로 표시한다.
ne1 여격/도구격 명사를 문장의 간접 목적어로 표시한다.
한국어 '-에'나 '-에게'에 해당된다.
ne2 피동 행위자 명사를 피동태 구문에서 행위자로 표시한다.
bat 탈격 명사를 동사의 기원으로 표시한다.
한국어 '-부터'에 해당된다.
bang 향격 명사를 동사의 목적지로 표시한다.
한국어 '-으로', '-까지'에 해당된다.
la 인용격 앞의 절을 간접 정보로 표시한다.

*: ji는 또한 단어 기능을 바꾸는 기능도 있다. 2.3을 참고하라.

만민어 명사는 수나 성별을 고려하지 않는 것이 특징이다. 만민어에서 복수는 명사의 중복 또는 접미사 -tat으로 강조할 수 있다.

2.2 동사 조사

만민어 동사는 여러 양상을 나타내기 위해 선택적으로 조사로 접사화되며, 다음 순서로 정보를 전달한다.

경어 시제-상 서법
li / hi si jung / le / kalu ya / ye / ka / ne

여기서 만민어의 이전 버전은 완료를 표시하기 전에 시제을 표시했지만, 이 시스템이 차용된 한국어의 시제 겹침 시스템을 더 잘 반영하기 위해 현재 형식으로 변경되었음을 언급한다.

2.3 기능 변형사

앞서 언급했듯이, 만민어에서는 모든 기본 단어가 행동과 현상, 객체와 개념, 또는 속성으로 분류된다. 일반적으로 각각 동사, 명사, 그리고 형용사나 부사에 해당되지만 해당 단어가 원래 의미에 가장 자연스러운 방식으로 사용되지 않는 경우가 종종 있다. 이 경우, 단어는 적절하게 기능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보조 조사나 동사를 사용해야 한다. 이를 위한 보조 조사들은 다음과 같다:

동사 명사 부사b 형용사
행동과 현상 -em 1 -ji2
객채와 개념 heng -yang -dek
속성 cey -em
  1. 행동이나 현상, 혹은 행동이나 현상이 주가 되는 구가 부사절처럼 사용되는 경우, 동사 여럿을 수정 없이 나란히 배치하여 하나의 동사 구를 형성할 수 있고, 이는 "동사 연쇄"로 지칭 할 수 있다.
  2. 이는 다른 명사 구를 설명하는 구(관계절)를 만드는 방식이다.

여기서 주목할 점은 이전 버전의 만민어에서는 객체와 개념을 나타내는 단어를 부사로 표시하는 조사가 -syang이었지만, 발음을 더 쉽게 하고 해당 어원을 더 자주 사용하는 고전 중국어와 일본어를 더 잘 반영하기 위해 이제 -yang으로 변경되었다는 것이다. 또한, 이전 버전의 만민어에서는 완료된 행동을 형용사로 변환하는 별도의 조사 -in이 있었지만, 이것은 -le-ji로 대체되었다는 점도 언급된다. 유사하게, 명사로 표시된 행동은 -le-em 또는 간단히 -lem을 통해 완료를 표시할 수 있다.

부정도 또 다른 종류의 단어 기능 수식어이며, 만민어에서 유일하게 접두사로 사용되는 조사라는 점에서 매우 독특하다. 만민어에서는 동사를 but-으로 부정하고, 형용사와 부사를 bi-로 부정한다. But-cey는 bey로 줄일 수 있다.

2.4 독립 조사

독립적으로 기능하는 조사도 있으며, 이는 특정 구에 붙지 않고 독립적으로 작동한다. 이러한 조사는 절 사이에 배치되는 등위 접속사로 기능하거나, 문장 시작 부분에서 구의 기능을 표시하는 데 사용할 수 있다.

만민어에서의 등위 접속사는 두 개의 독립적인 절을 연결하는 접속사이다.

등위
접속사
설명 예시
i 누적 접속사.
“-고”와 동일.
A sik i ta sik.
나는 먹고 그는 먹는다.
nyak 가정 접속사.
“면”과 동일.
A sik nyak ta sik.
내가 먹으면 그가 먹는다.
dan 대조 접속사.
“~(지)만”과 동일.
A sik dan ta but sik.
나는 먹지만 그는 먹지 않는다.
butdan 대조 접속사.
“~는데도”와 동일.
A sik butdan ta sik.
그가 먹는데도 불구하고 나는 먹는다.
syuy 양보 접속사.
“~일지라도”와 동일.
A sik syuy ta sik.
그가 먹을지라도 나는 먹는다.
hok 선택 접속사.
“~나”와 동일.
A sik hok ta sik.
나는 먹거나 그가 먹는다.
pi 비교 접속사.
"~비해"와 동일.
A sik pi ta da sik.
내가 먹는 것에 비해 그는 더 많이 먹는다.

만민어에서의 종속 접속사는 한 독립절을 다른 절(독립절 또는 종속절)에 연결하는 접속사이다.

종속
접속사
설명 예시
hwa 누적 접속사.
“~와”와 동일.
두 개의 독립절을 연결하는 데 사용할 수 없다.
A sik hwa ta.
나는 그와 먹는다.
wi 목적 접속사.
“~을 위해”와 동일.
A sik wi ta.
나는 그를 위해 먹는다.
yu 원인 접속사.
“~때문에”와 동일.
A sik yu ta sik.
나는 그 때문에 먹는다.
geng 수단 접속사.
“~을 통해”와 동일.
A sik geng ta.
나는 그를 통해 먹는다.

기능 조사도 but-로 부정할 수 있다. 이 경우, 다음 문장이 주어와 다음 동사 구 사이의 관계를 실용적으로 명확히 할 것으로 가정된다.

2.5 대명사

만민어는 간단한 대명사 체계를 가지고 있다. 인칭 대명사로는 만민어의 1인칭 대명사 a, 2인칭 대명사 ni, 그리고 3인칭 대명사 ta가 있다. 또한 kun, nyang, ini라는 성별과 친밀함을 나타내는 대체 타인칭 대명사들도 있다. 각각 남성, 여성, 중성에 해당한다.

만민어는 다른 대명사를 생성하기 위한 모듈식 시스템을 가지고 있다. 만민어 대명사는 다음과 같은 지시 매개변수를 가지고 있다: 자인칭 근접 ko, 타인칭 근접 co, 원격 yo, 의문 ha, 특정 hok, 보편 man, 부정 mu, 대안 ta. 이들은 지시 대상의 명사 클래스를 지정하기 위해 선택적으로 접미사를 붙일 수 있다. 비인간 객체는 -ka로, 사람은 -nin으로, 시간은 -si로, 장소는 -di로, 이유는 -yu로, 방법은 -i로 접미사화된다. 많은 보편 대명사는 한자어권 언어에서 이미 널리 사용되는 단어들 때문에 표준 대상 지정 접미사를 사용하지 않는다는 점이 주목된다.

자인칭 근접 타인칭 근접 원격 의문 특정 보편 부정 대안
‘이’ ‘그’ ‘저’ ‘어떤’ ‘특정’ ‘모든’ ‘아무’ ‘다른’
기초 ko co yo ha hok man mu ta
물체 koko coko yoko haka hokko manmut* muku taka
사람 konin conin yonin hanin hoknin manmin* munin tanin
시간 kosi cosi yosi hasi hoksi syangsi* musi tasi
장소 kodi codi yodi hadi hokdi manbang* mudi tadi
이유 koyu coyu yoyu hayu hokyu manyu muyu tayu
방법 ko’i co’i yo’i ha’i hok’i man’i mu’i ta’i

3. 어휘

만민어의 어휘는 다양한 언어에서 온다. 일부 단어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지만, 만민어는 일반적으로 개방형 어휘를 가지고 있어 어느 언어에서든 단어를 가져올 수 있다. 단, 개별 언어에서만 사용되는 단어보다는 널리 인식되는 단어가 선호되며, 가장 기본적인 단어를 제외하고는 단음절 단어를 피해야 한다. 단어의 출처는 여섯 가지 다른 범주로 나뉘며, 상황에 따라 다른 출처 언어를 사용해야 한다. 이러한 권장 사항은 정확한 규칙으로 간주되어서는 안 되며, 언어의 필요에 따라 유연하게 해석되어야 한다.

첫 번째 범주는 한어 기원의 단어이다. 일반적으로 이는 한나라-당나라 시대 중국의 구어체였던 고전 중국어에서 유래한 단어를 의미하며, 중국, 일본, 한국, 베트남의 전통적인 문어 공용어였다. 도교, 유교, 정치, 외교, 경제 등의 문제에 대해서는 한어 범주에서 단어를 차용하는 것이 권장되며, 식물이나 동물의 이름에 대해서는 한어 범주에서 어휘를 차용하는 것을 피하는 것이 권장된다. 또한 다른 언어에서 유래하지 않은 새로운 단어를 만들 때, 만민어 사용자는 고전 한어 단어를 만드는 기존 관례에 따라 한어 어근을 사용하는 것이 압축성을 고려해 권장된다.

두 번째 범주는 산스크리트어 기원의 단어이다. 산스크리트어가 원어인 남아시아는 만민어의 직접적인 범위에는 포함되지 않지만, 동남아시아의 많은 언어들이 불교로 인해 산스크리트어와 팔리를 권위 있는 언어로 여긴다. 심지어 유교권인 베트남, 중국, 한국, 일본에서도 산스크리트어가 일부 어휘에 영향을 미쳤다. 따라서 산스크리트어는 만민어 세계에서 중요한 언어이며, 그 포함을 설명한다. 만민어 사용자는 특히 인도 종교와 철학과 관련된 어휘에 대해서는 산스크리트어에서 단어를 차용하는 것이 권장된다.

세 번째 범주는 한국어나 일본어 기원의 단어이다. 한국어와 일본어는 입증된 관계는 없지만, 문법에서 많은 유사점을 공유하고 있으며, 일부 어휘에서도 유사점을 공유하는 것으로 잘 알려져 있어 하나의 범주로 간주된다. 이 범주에서 단어를 어떻게 적응시킬지에 대한 구체적인 규칙은 없는데, 이는 공유하는 동류어가 너무 불규칙하여 명확한 규칙을 만들 수 없기 때문이다. 만민어 사용자는 냉온대 기후의 자연과 관련된 어휘가 필요할때나 한국어와 일본어 사이에 동류어가 발견되는 경우에 이 권역에서 온 단어를 사용하는 것이 권장된다.

네 번째 범주는 오스트로아시아 기원의 단어이다. 대부분의 다른 학문적 맥락에서 "오스트로아시아"라는 용어의 일반적인 사용과 달리, 만민어 논의에서는 오스트로아시아가 태국, 라오스, 캄보디아, 미얀마를 포함한 대륙 동남아시아를 의미한다. 대륙 동남아시아, 즉 오스트로아시아는 다양한 언어들이 유전적 이유나 교류로 인해 단어를 공유하는 어휘 동조대를 형성한다. 한국어-일본어 어휘동조대의 경우처럼, 이 어휘동조대의 공유되는 동류어들도 너무 불규칙하여 차용의 규칙을 명확히 만들 수 없다. 만민어 사용자는 열대 기후의 자연과 관련된 어휘가 필요할때나, 오스트로아시아 언어들 사이에 동류어가 발견되는 경우에 이 권역에서 온 단어를 사용하는 것이 권장된다.

다섯 번째 범주는 오스트로네시아 기원의 단어이다. 오스트로네시아어족은 해양 동남아시아 대부분에서 지배적인 언어족이며, 오늘날 인도네시아, 필리핀, 말레이시아, 브루나이, 대만, 싱가포르 등 여러 나라에 걸쳐 있다. 오스트로네시아어족의 언어들은 종종 동족어를 공유하므로, 가능한 경우에는 공유 어휘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특히 항해나 자연 세계와 관련된 문제에서 그렇다.

여섯 번째 범주는 외래 기원의 단어이다. 이 단어들은 아랍어, 스페인어, 영어 등 만민어 영역 외부에서 주로 사용되는 언어에서 온 단어이다. 이들은 일반적으로 정보 시대 기술, 아브라함계 종교 등 아시아에서 토착화되지 않은 단어를 가리킨다. 이러한 특정 범위 외에는, 만민어 출처 언어에 적합한 단어가 없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이러한 단어를 사용하는 것이 권장되지 않는다.

3.1 한문에서 온 어휘

고전 중국어에서 유래한 단어들이나 고전 중국어에서 사용된 과정을 통해 새롭게 만들어진 단어들은 단일 현대 언어의 발음만을 기반으로 차용될 수 없으며, 대신 거의 모든 현대 독음이 유래된 당나라 시대 중국어 발음의 단순화된 버전을 기반으로 차용되어야 한다.

고전 중국어에서는 대부분의 자주 사용되는 한자가 성모(초성 자음)와 운모 분류되었으며, 운모는 모음과 종성 자음의 조합이다. 이 정보는 『절운(切韻)』이나 『운경(韻鏡)』과 같은 문헌에 기록되어 있다. 첫 번째 표에는 고전 중국어 성모와 현대 만민어 자음 값 간의 대응 관계가 나와 있다.

평성 유기음 유성음 비음 점근음
양순음 幫 b 滂 p 並 b 明 m
치경음 端 d 透 t 定 d 泥 n
치경 파찰음 精 j 清 c 從 j
치경 마찰음 心 s 邪 s
권설음 知 d 徹 t 澄 d 娘 n
권설 파찰음 莊 j 初 c 崇 j
권설 마찰음 生 s 俟 s
경구개음 章 j 昌 c 常 j 日 n 以 y
경구개 마찰음 書 s 船 s
연구개음 見 g 溪 k 群 g 疑 ∅ 云* ∅
연구개 마찰음 曉 h 匣 h
성문음 影 ∅
*: 이 초성의 원래 음가는 불안정했다.

고전 중국어에서 한자의 운모를 분류하는 방식은 다음과 같다: 운섭(韻攝): 외전(外轉) 운섭은 저모음을, 내전(內轉) 운섭은 중모음이나 고모음을 의미한다. 호(呼): 개구호(開口呼)는 원순음/u/를 함유하지 않은 모음을, 합구호(合口呼)는 원순음/u/를 함유한 모음을 의미한다. 등(等): 구개음화 정도에 따라 1-4등급으로 분류되며, 4등이 가장 구개음 정도가 심한 운모이다. 운미(종성 자음): 여러 종류가 있다. 운미는 비교적 간단하지만, 다른 요소들은 그렇게 단순하지 않다. 이들의 대응 관계는 아래 표에 나와 있다.

재구된
중세 중국어
모음
1등 2등 3등 4등
개음 폐음 개음 폐음 개음 폐음 개음 폐음
/a/ a wa ya wa
/a:/ a wa ya
/aj/ 咍,
ay 灰,
way 皆,
夬,
ay 皆,
夬,
way ey wey 齊,
ey 齊,
wey
/aw/ aw aw yaw yaw
/am/ 覃,
am 咸,
am 鹽,
em om em
/an/ an wan 山,
an 山,
wan 元,
an 元,
wan 仙,
en 仙,
wen
/aŋ/ ang wang ang wang
/auŋ/ ang
/aiŋ/ 庚,
eng 庚,
ong 庚,
eng 庚,
eng eng eng
/ə/ o o u
/i/ 支,
微,
之,
i 支,
wi
yuy
/əw/ ow 尤,
yu
/əm/ im
/ən/ on on 臻,
眞,
in 諄,
yun
un
/əŋ/ eng ong eng ong
/əuŋ/ 東,
ong 東,
ong

이 문법 설명서에서 전에 말했듯이, 이 규칙은 필요에 따라 바뀔 수 있으며, 이는 만민어 커뮤니티의 필요에 따라야한다.

3.2 산스크리트에서 온 어휘

산스크리트어는 동아시아 여러 언어로 각각 독립적으로 차용되었기 때문에, 만민어에서도 표준 차용 방법이 필요하다. 특히 산스크리트어가 만민어에서 더 중요해짐에 따라 표준화된 차용 방법이 요구된다.

가장 간단한 방법은 가능하면 산스크리트어를 그대로 표기하고, 필요할 때에는 만민어 음운론에 맞춘 변형을 통해 팔리어로 산스크리트어를 단순화하는 규칙을 사용하여 최소한으로 단순화하는 것이다. 산스크리트어 단어를 만민어로 변환할 때 주의할 점은 다음과 같다:

3.3 라틴어에서 온 어휘

비록 만민어권의 언어는 아니지만, 그리스어와 라틴어는 현대 서구에서 유래한 많은 현대 개념의 기초가 되는 언어로 매우 영향력 있는 언어이다. 그러나 다양한 유럽의 영향이 섞여 있어 특정 단어의 출처를 이해하는 데 혼란을 초래하여 라틴어 기반 단어의 어원을 파악하는 것이 필요 이상으로 어렵게 된다. 따라서 만민어는 라틴어 기반 차용어가 어떻게 차용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표준 변환 규칙을 가지고 있다.

3.4 다른 언어에서 온 어휘

만민어는 매우 기술적인 설명을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완벽하게 규정된 언어보다는 자연스러운 의사소통을 위한 유연한 프로토콜을 지향한다. 따라서 이러한 규칙들은 만민어 사용자들이 필요에 따라 자유롭게 해석할 수 있는 지침으로 이해하는 것이 가장 좋다. 만민어 사용자들은 주기적으로 새로운 관례를 공식화하고 이 섹션에 새로운 관례를 기록하거나 삭제해야 하지만, 다음은 고려할 만한 몇 가지 규칙이다.

만민어와 호환되지 않는 자음군을 분리하기 위해 삽입된 보조 모음은 i, a, 또는 u일 수 있으며, 이는 원래 음절의 핵심 모음이 비원순 전설 모음인지, 중간 모음인지, 후설 모음이나 원순 모음인지에 따라 달라진다.

자음 변환은 특정 차용어에 대해 다른 언어들이 설정한 관례를 따라야 하지만, 일반적으로 v는 f 대신 b나 w로, z는 j나 s로 변환하는 것이 권장된다. 그러나 이러한 권장 사항은 어디까지나 참고용일 뿐이며, 차용어가 인식 가능하다면 어떤 변환도 허용된다.

4. 문법

4.1 전반적 통사

만민어는 SOV 선호의 자유 어순을 가진 좌분기 언어이다. 간단히 말해, 다른 절을 수정하는 절은 수정되는 절 앞에 와야 한다. 또한 만민어는 주제를 표시하는 언어이자 문법적 누락을 허용하는 언어이다. 구의 논항이 문맥에서 추론될 수 있다면, 이는 생략할 수 있다. 굴절 조사도 문맥상 명확하다면 생략할 수 있지만, 그렇지 않으면 애매함을 피하기 위해 반드시 포함되어야 한다.

4.2 존대어

만민어에는 세 가지 정도의 경어 표시가 있다. 첫 번째는 존대어다. 만민어에서 참조 대상에 대한 존경을 표시하기 위해 인칭 대명사나 이름을 사용하지 않고 대신 직함을 사용할 수 있다. 지칭 대상이 구의 주어일 경우, 동사에 경어 표시 -si-를 사용해야 한다(2.2 동사 수식어 참조). 두 번째 경어 수준은 중립어으로, 표시되지 않는다. 마지막 경어 수준은 비격어로, 공식적인 이름이나 직함 대신 친밀한 대명사 kun, nyang, ini 또는 별명을 사용하는 것을 포함한다.

4.3 숫자

만민어에서 숫자는 추상적인 값, 수량 또는 목록에서의 위치(서수)를 표시하는 데 사용된다. 추상적인 값은 산스크리트어 형태(숫자 0-10)로 표현되거나, 한어 어근으로 구성된 복합어로 표현된다(기타 숫자). 수량도 같은 방식으로 표현되지만, 뒤에 단위어가 따라야 하고, 명사와 연관시키기 위해 -ji를 붙여야 한다. 동작의 양을 나타내는 단위어는 hway, 셀 수 있는 무생물 명사를 위한 단위어는 gay, 동물을 위한 단위어는 dow, 사람을 위한 단위어는 meng이다. 서수는 ban을 사용한다.